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파이썬회계 Cp.01-04 파이썬 기초(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시퀀스형 자료)
    파이썬회계(Python Accounting) 2020. 11. 22. 06:44
    728x90
    반응형
    SMALL

    2020/11/21 - [파이썬회계(Python Accounting)] - 파이썬회계 Cp.01-03 파이썬 기초(파이썬 변수, 파이썬 연산자)

     

    파이썬회계 Cp.01-03 파이썬 기초(파이썬 변수, 파이썬 연산자)

    →2020/11/18 - [파이썬회계(Python Accounting)] - 파이썬회계 Cp.01-02 기초다지기(비트코인 시세 확인) 파이썬회계 Cp.01-02 기초다지기(비트코인 시세 확인) 2020/11/17 - [파이썬회계(Python Accounting)] -..

    hi-everybody.tistory.com


    안녕하세요 ! 회계하는 남자, 김짱구입니다 -_<
    오늘은 저번시간에 말씀드린 대로 파이썬 자료의 종류(Data Type)중 중요하다고 하는 시퀀스형 자료에 대해 말씀드리려고 합니다. (๑˘ꇴ˘๑) 

    다음과 같이 List , Tuple, Set, Dictionary라 불리는 자료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1. 리스트(List) 자료
     리스트는 여러 데이터를 묶어 하나의 목록으로 표현하는 개념입니다. 대괄호[ ]로 묶여 있는 자료형 태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대괄호 안에서는 콤마(,)로 값이 구분되며, 구분에 따른 순서가 있습니다.
    이 순서는 일반적인 우리의 개념으로는 1부터 시작하는 개념이겠지만, 파이썬에서는 시퀀스 자료를 사용하는 경우 0부터 시작된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컴퓨터는 0과 1로 처리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⁰︻⁰) )
    그렇다면 위의 예시를 토대로 순서를 나타내 보겠습니다.

    0번째 자리 1번째 자리 2번째 자리 3번째 자리 4번째 자리
    1 2 3 4 5
    -5번째 자리 -4번째 자리 -3번째 자리 -2번째 자리 -1번째 자리

    정방향(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진행을 한다면, 0번째 자리부터 시작합니다. 하지만 역순(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진행한다면 -1번째 자리부터 시작한다는 점! 잊지 말아 주세요, 역순을 활용하게 되면 더 효율적으로 프로세스를 처리할 경우가 있습니다.

     리스트 내의 자료에 이렇게 인덱스(Index)가 구분을 통하여 자동적으로 부여가 됩니다. 이런 자료를 리스트 인덱싱을 활용하여 인덱스에 맞는 값을 호출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a라는 리스트 변수 안에 있는 자료 중에 0번째 자리의 값 = 1 , -5번째 자리의 값 = 1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를 활용하여 슬라이싱을 할 수 있습니다. 슬라이싱은 인덱스와 : (콜론)을 이용하여 리스트의 일정구간의 값을 잘라내어 얻는 것을 뜻합니다. 리스트의 슬라이싱은 대괄호 안에서 [시작 인덱스 : 끝 인데스 : 증가 크기]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시작 인덱스에 해당하는 문자는 슬라이싱에 포함하지만, 끝 인덱스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증가 크기는 생략할 수 있으며, Default 값은 1입니다.


    2. 튜플(Tuple) 자료
     튜플은 리스트처럼 다양한 자료형의 원소를 가집니다. 대괄호 대신 소괄호( )로 표시하며 리스트와는 달리 튜플 내의 원소를 변경할 수 없으며 리스트에 비해 처리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르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튜플 (Tuple) 리스트 (List)
    값의 변경 불가능 가능
    처리속도 상대적으로 빠름 상대적으로 느림

     또한, 튜플은 하나의 값도 원소로 가져 한 개의 튜플로 취급을 합니다.
    첫 번째 줄에 있는 (100,)은 튜플 자료 형태로 '100'이라는 원소를 가지는 튜플 자료입니다. 그러니까 정수(Integer) '100'과는 다르다(False)는 값이 반환되게 됩니다. 두 번째 줄에 있는 (100)은 콤마(,)로 구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있는 그대로 정수(Integer) '100'을 의미하기 때문에 동일하다(True)의 값을 반환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개념이 중요한 이유는 나중에 스크립트를 작성할 때 자주 등장하는 에러의 유형과 동일하기 때문입니다.


    3. 딕셔너리(Dictionary) 자료
     딕셔너리는 사전이라는 의미로 키(Key)와 값(Value)으로 구성된 자료입니다. 중괄호{ }의 형태에서 키가 앞에 나오며 값은 뒤에 나오고 키와 값 사이에는 콜론(:)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키(Key)의 값이 될 수 있는 자료는 정수(Integer), 실수(Float), 문자(String), 튜플(Tuple)이 가능합니다. 딕셔너리에는 리스트와 튜플처럼 인덱스가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라서 값을 호출할 때는 키를 활용하여야 합니다.


    4. 셋(Set) 자료
     셋은 중복이 없는 원소 집합을 나타냅니다. 셋을 생성하려면 중괄호{ } 사이에 원소들을 쉼표로 구분하여 나열하면 됩니다. 하지만 중복은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원소를 중복해서 생성하더라도 원소는 하나만 존재하게 됩니다. 또한 사용자가 입력한 원소의 순서대로 저장되지 않는다는 점은 유의해야겠습니다. 셋은 다른 자료처럼 원소가 없는 상태에서 생성이 되지 않습니다. 공백인 중괄호{ }로 생성하게 되면 딕셔너리 자료로 저장이 되므로 빈 셋은 set이라는 명령어를 통해서 생성하여야 합니다.
    이런 셋의 특징을 활용하면 리스트에서 중복되는 원소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반복형 자료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기본기를 다지는 시간은 오늘까지로 하고 이제 본격적으로 파이썬 회계의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٩(*•̀ᴗ•́*)و
    회계하는 남자, 김짱구였습니다. 

    728x90

    댓글

Designed by Tistory.